건너뛰기 메뉴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City of Masters 안성맞춤도시 안성 분야별

사이트맵 모바일 메뉴 열기

환경/상하수

  • 환경/상하수
  • 대기환경
  • 탄소포인트제사업안내

탄소포인트제사업안내

탄소포인트제란?

  • 온실가스 감축 및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시민의식과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 가정, 상업 등의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사용 감축률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제공

탄소포인트 제공방법 : 현금, 온누리상품권, 그린카드, 지역화폐

탄소포인트제 참여방법

참여조건

참여자의 거주시설에 전기 등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고유번호가 있는 계량기가 부탁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다른 객관적인 방법으로 참여자의 전기 등 사용량 확인이 가능하여야 합니다.

참여대상

  • 개인 가정의 세대주(세대 구성원) 또는 학교, 상업시설 등의 실제 사용자
  • 단지 아파트단지(150 세대 이상), 학교, 일반 건물의 공용부문(가로등 및 산업용 전력)을 관리하는 아파트 관리사무소, 학교장, 건물관리자

    지방자치단체의 여건에 따라 단지 규모 조정 가능

참여방법

인터넷 신청

탄소포인트제 홈페이지 (https://cpoint.or.kr/)에 접속하여 온라인 가입

서면 신청

참여 신청서를 작성하여 관할 시·구·군 담당 부서에 직접 방문 또는 우편, 팩스로 신청

참여 시 유의사항

  • 관리비 합산 가구 전기(상수도) 등 요금이 관리비 고지서에 포함된 경우, 가입 시 고객번호 별도 기입 없이 관리비 합산 항목에 체크
  • 요금 고지서 개별 수령 가구 전기(상수도, 도시가스) 등 고지서의 고객번호를 필히 입력하여야 함

상수도, 도시가스는 지방자치단체의 시행여부에 따라 입력

개인정보 변경

개인정보 변경 시(거주지, 연락처, 계좌번호 등) 온라인에서 직접 변경 또는 관할 시·구·군 담당 부서에 개인정보 변경 신청서 작성·제출

주의사항 : 개인정보를 변경하지 않은 경우, 인센티브를 지급받지 못할 수도 있음

포인트 산정 및 인센티브 지급

  • 산정기간의 과거 2년 또는 1년간 월별 사용량과 실사용량을 비교하여, 절감세대에 인센티브 연 2회 지급
  • 에너지 사용 감축률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기준

포인트 부여

산정기간의 시점부터 과거 2년간 월별 평균 사용량 대비 금월 사용량 확인, 전기 등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개별 항목별(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등) 온실가스 감축률에 따라 해당 포인트를 부여합니다.

지급기준

  • 개인 가입 시 선택한 인센티브 종류에 따라 연2회(6월, 12월) 포인트 당 최대 2원(지방자치단체의 사정에 따라 2원 이내에서 변동) 지급
  • 단지 단지별 평가결과 (전년도 7월 ~ 당해 연도 6월)에 따라 연1회 지급
    • 1단계 온실가스 감축률(전기 5% 이상)에 따라 정액으로 인센티브 지급
    • 2단계 1단계 선정단지를 대상으로 평가기준(온실가스 감축률, 개별세대 참여율, 노력도)에 따라 상위 30%를 선정하여 인센티브 지급
온실가스 감축률에 따른 지급 기준 (연간 최대 지급 금액)

전기

  • 5~10% 미만 5,000원/반기
  • 10%이상~15% 미만 10,000원/반기
  • 15%이상 15,000원/반기

수도

  • 5~10%미만 750원/반기
  • 10%이상~15%미만 1,500원/반기
  • 15%이상 2,000원/반기

가스

  • 5~10%미만 3,000원/반기
  • 10%이상~15%미만 6,000원/반기
  • 15%이상 8,000원/반기

인센티브 종류

  • 그린카드를 발급 받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크게 2가지로 분류
  • 그린카드를 발급 받으신 분은 에코머니 포인트를, 미 발급이신 분은 현금 외 다양한 선물 지급
그린카드를 발급 받은 경우
  1. 01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사용량 10%이상 절감 시 연간 최대 70,000원 상당 포인트 지급
  2. 02 에너지 절감, 대중교통 이용, 그린카드 가맹점 이용, 녹색매장 친환경 제품 구매
  3. 03국립공원할인, 휴양림 입장료 면제, 제휴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
그린카드를 발급 받지 않은 경우
  • 현금, 상품권, 종량제봉투, 기념품, 기부, 교통카드, 상장, 기념패, 지방세 납부, 공공시설 이용 바우처, 캐시백 포인트

그린카드 발급을 원하시는 참여자는 그린카드(https://www.green-card.co.kr)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위로가기